Kingdom

Future Kingdom in 1 Thes.2:12

BeNotSurprised 2021. 2. 10. 06:32

Alva McClain, The Greatness of the Kingdom, 436

 

살전 2:12에 나타난 이 왕국은 지금 내 마음의 화평과 예수님이 주인이신 상태를 말하는 걸까? 아니면 미래에 세워질 messianic kingdom 일까? 

 

(살전 2:12) 이것은 너희를 부르사 자신의 왕국과 영광에 이르게 하신 [하나님]께 너희가 합당히 걷게 하려 함이라.
(1Th 2:12) That ye would walk worthy of God, who hath called you unto his kingdom and glory.

 

너희를 부르셔서 왕국에 이르게 하셨다고 hath called 라고 되어 있으니까 이건 미래의 왕국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럼 여기 시제는 실제로 뭔가하고 살펴보니, present participle이다. 

또한 성경에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실체에 대해  (de jure) 이미 위치적으로 이루어진 실체를 적어놓은 경우가 많다. McClain 은 벧전 5:10이 이 경우에 해당하는데, 여기 살전 2:12도 벧전 5:10과 동일한 구조라고 설명한다. 

 

"The language here is similar to other passages where believers are said to be called unto (eis) things not yet realized in Christian experience" (McClain, 436).

 

(벧전 5:10) 그러나 모든 은혜의 [하나님] 곧 그리스도 예수님을 통해 우리를 부르사 자신의 영원한 영광에 이르게 하신 분께서 너희가 잠시 고난을 받은 뒤에 너희를 완전하게 하시고 굳건하게 하시며 강하게 하시고 정착시키시리니
(1Pt 5:10) But the God of all grace, who hath called us unto his eternal glory by Christ Jesus, after that ye have suffered a while, make you perfect, stablish, strengthen, settle you.

 

우리는 아직 실제적으로는 (de facto)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않았다. 이건 미래에 실제로 이루어질 일이다. 하지만 우리는 위치적으로 또는 legally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른 사람들이다. 그래서 베드로는 미래의 사건을 마치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기록하고 있다. "...우리를 부르사 자신의 영광에 이르게 하신" 이라고 이미 이루어진 과거형처럼 기록해 놓았다. 이걸 보면서 아무도 우리는 하나님의 영광에 이미 이르렀다고 주장하진 않는다. 그냥 무의식적으로 안다. 이미 구원받은 자들로서 앞으로 반드시 (certainty) 그분의 영광을 실제로 보게 될 날이 임할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이렇게 적은 것이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살전 2:12에서도 de jure vs de facto 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직 이르지 않은 미래의 왕국... 거기로 우리를 이미 부르셔서 이르게 하신 (de jure, but not de facto) 하나님께 합당히 걸으라는 말로 이해하면 된다. 그래서 McClain 등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살전 2:12의 왕국은 지금 현재의 왕국 즉 현재의 성령충만한 상태가 아니고, 앞으로 미래에 예수님께서 세우실 그 나라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아무런 무리가 없다. 

'Kingd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ture Kingdom in Heb. 12:28  (0) 2021.02.10
Greek Futuristic Present  (0) 2021.02.09
Hebraic "not A but B"  (0) 2021.02.09
de jure VS de facto  (0) 2021.02.09